병장 한 달 월급이 마침내 월 150만원 시대에 진입하였습니다. 이젠 '짬내서 저축'이 아니라, '짬내서 사회 준비'하는 군 복무로 바뀌고 있는 분위기 입니다.
목차
1. 계급별 병사 월급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군인 월급은 '용돈' 수준이라는 말이 많았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이병은 약 60만원, 병장은 약 68만원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이병은 75만원, 일병 90만원, 상병 120만원, 병장은 무려 150만원으로 크게 인상되었습니다. 아래 차트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3년만에 병장 월급이 두 배 이상 오른 셈입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수치 인상이 아니라, 병사 복지 향상과 사회 복귀 준비를 돕기 위한 정부 정책의 일환입니다. 특히 병장 기준 월급 150만원은 '최저 임금의 50% 수준'을 목표로 한 정부 계획이 드디어 실현된 결과이기도 합니다.
전체 군생활 동안 받는 월급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현역 육군 18개월 기준)
구분 | 월급 | 복무기간 | 총 월급 | 합계 |
이병 | 75만원 | 3개월 | 225만원 | 1,845만원 |
일병 | 90만원 | 7개월 | 630만원 | |
상병 | 120만원 | 7개월 | 840만원 | |
병장 | 150만원 | 1개월 | 150만원 |
여기에 위험수당, 특수근무수당, 중대장 표창금, 연가보상비, 전역정착금 등이 추가될 경우, 대략 2,000만원 정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 병사 월급 인상 배경과 정책 의도
군인 월급 인상은 단순히 병사들의 생활비를 늘리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과거에는 월급이 너무 적어 부모님의 지원을 받거나, 휴가 때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제는 군 복무 중에도 일정 금액을 저축하거나 자기계발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 것입니다.
국방부는 '병 봉급 이상 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왔고, 2025년에는 병사 처우개선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이를 통해 군 복무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전역 후 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 취지입니다.
3. 앞으로의 기대와 활용 팁
병사 월급이 오르면서, 군 생활 동안 재테크를 시작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일부 장병들은 월급의 절반 이상을 저축해 전역 자금으로 활용하거나, ISA나 적금 같은 금융상품에 가입해 복무 기간 동안 목돈을 만드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모은 돈은 취업 준비, 자격증 취득, 학자금 상환 등 다양한 곳에 쓸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부가 병사 처우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군 복무는 단순한 의무가 아닌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 생활 끝에 받는 최고의 선물, 장병내일준비적금 이렇게 준비하세요 (0) | 2025.08.12 |
---|---|
월배당 받는 CD금리 ETF 알아보기 (0) | 2025.08.10 |
2025년 부모급여 완전정복! 현금 100만원 받는 조건은? (0) | 2025.08.04 |
구리 투자 어떻게 해야되지? (0) | 2025.08.03 |
퇴직후 건강보험료 부담 낮추는 방법 (임의계속가입) (0) | 2025.07.26 |
정부 영화지원 쿠폰 받기, 선착순! (0) | 2025.07.24 |
스위스 프랑(CHF)에 투자자들이 몰리는 이유 (0) | 2025.07.24 |
올 여름 울산페이 한시적으로 혜택 증대 (세부사항 알아보기) (0)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