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우리집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일까?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에서 기초생활보장이나 각종 복지사업 등을 할 때 가구별로 지원금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기준입니다. 가구의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하여 합산한 금액, 즉, 소득인정액 기준의 중위소득을 말합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보건복지부의 소득인정액 기준 가구별 중위소득 금액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3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5,025,353원입니다. 그리고 이 중위소득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은 2,512,677원이며, 150%에 해당하는 금액은 7,538,030원입니다.

 

 

생계, 의료, 주거, 교육과 같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핵심 복지급여는 주로 중위소득의 30~60%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차상위 계층과 긴급복지지원은 주로 중위소득의 50~75%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아동수당, 출산지원, 주거지원 등은 중위소득의 100~150% 또는 그 이상의 넓은 범위에서 결정되기도 합니다.

 

 

아래 표는 주로 사용하는 기준 중위소득의 예시를 정리한 것입니다.

 

구분 주요 적용 사례 의미
30% 이하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생활이 가장 어려운 절대빈곤층
40% 이하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최저의료 지원이 필요한 저소득층
47% 이하 기초생활보장 주거급여 임차료 지원이 필요한 주거빈곤층
50% 이하 차상위계층, 긴급복지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층
60% 이하 기초생활보장 교육급여 교육비 지원이 필요한 저소득층
65~80% 이하 한부모가족지원(아동양육비 등) 저소득 한부모가족
120~150% 이하 청년, 신혼부부 주거지원 취약 청년, 신혼부부의 주거안정
180% 이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보편적 지원이 필요한 중산층 이하

 

2. 건강보험공단의 중위소득표

이 중위소득표는 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료 산정을 하기위해 사용하는 소득 수준의 통계 자료이며, 건강보험 가입자의 소득 구간을 나누어 보험료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주로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이나 조정 시 활용되고, 실제 가구의 소득이나 재산까지 세부적으로 고려하지는 않습니다.

 

 

3. 평균소득과 중위소득의 차이점

평균소득은 모든 사림의 소득을 전부 합한 뒤, 전체 사람 수로 나눈 값입니다. 만약에 극단적으로 소득이 높은 사람이 있으면, 평균소득은 실제 체감하는 일반적인 소득보다 더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 중위소득은 모든사람을 소득준으로 줄 세웠을 때, 딱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말합니다. 

 

구분 홍길동 김길동 최길동 박길동 이길동
소득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1,000만원
평균소득 400만원
중위소득 300만원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복지정책에서는 실제 가구가 느끼는 현실적인 소득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평균소득보다는 중위소득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