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시장에 상장된 펀드로써, 매달 고배당을 주는 펀드입니다. 정확히는 ETF가 아니라 CEF라고 하며, CEF는 폐쇄형 펀드라고 합니다. PDI라는 폐쇄형 펀드가 매달 배당을 얼마나 주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PDI 월배당금
PDI는 미국주식시장에 상장된 펀드중에서도 매달 고배당을 주는 펀드입니다. 1주당 가격은 $19.56이며, 1주를 매수하여 가지고 있을 때, 매달 $0.2205, 요즘 환율 1,450원으로 계산하면, 약 2만 8천원으로 1주를 매수하면 매달 약 32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표를 통해 좀 더 알기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환율 : $1 = 1,450원일때) | 1주 (2만 8천원) | 100주 (약 280만원) | 1,000주 (약 2,800만원) |
월 배당금 | 320원 | 약 32,000원 | 약 320,000원 |
연 배당금 | 3,840원 | 약 380,000원 | 약 3,840,000원 |
즉, 2,800만원을 투자하면 매년 세전 384만원의 분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시가 배당율은 13.53%이며, 매달 $0.2205씩 똑같은 금액을 배당하고 있습니다. 배당 성장은 없지만, 높은 배당을 지급하고 있기 때문에 은퇴를 계획하고 계신 분이나, 매달 생활비로 쓰시려는 분들에게 인기가 많은 펀드입니다.
배당선언일은 매달 초, 거의 매달 1일에 하며, 배당락일은 매달 8일에서 13일 사이 입니다. 배당기준일은 배당락일과 동일하며, 실제 배당지급일은 매달 1일에서 3일사이에 지급합니다. 한국의 경우, 영업일 기준으로 D+2일 정도 더 소요됩니다.
표를 통해 이번달에 있을 배당날짜를 예시로 알려드리겠습니다.
구분 | 날짜 |
Declare Date | 3월 3일 |
Ex-Div Date | 3월 13일 |
Record Date | 3월 13일 |
Pay Date | 4월 1일 |
즉, 3월 13일까지 매수하면 4월 1일에 약속된 배당금을 지급하겠다는 의미 입니다.
요즘 유행하는 커버드콜 ETF의 경우, 매달 분배금을 지급하는 것은 동일하나, 그 분배금이 일정하지가 않지만, PDI의 경우, 커버드콜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매달 일정한 분배금을 지급합니다.
2. PDI 자산규모와 가치(NAV)
2025년 3월 16일기준 PDI의 자산규모는 $6.28B로써, 환율 1,450원을 기준으로 할 때, 약 9조 1천억원정도 됩니다. PDI와 같은 폐쇄형 펀드는 처음 만들어질 때 주식 수가 정해진 펀드입니다. 즉, 새로운 주식을 더 발행하거나 환매해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순자산가치(NAV)와 시장가격과의 차이를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장가격이 순자산가치(NAV)보다 높으면 프리미엄, 낮으면 디스카운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펀드의 실제 가치가 1만원인데 시장에서 인기가 많으면 1만 2천원에 거래되기도 하고(프리미엄), 인기가 없으면 8천원(디스카운트)에 거래될 수도 있습니다.
즉, 프리미엄이 높을 때는 비싸게 사는 셈이기 때문에 투자할 때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실제 순자산가치(NAV)는 $17.04인 반면에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액은 $19.57입니다. 즉, 14.85%만큼 프리미엄이 붙어서 거래되고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폐쇄형 펀드(CEF)는 ±5% 내외의 프리미엄이나 디스카운트 범위에서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14.58%정도라고 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매수하는 것이므로 그만큼 리스크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펀드가 운용을 잘해서 NAV가 상승하거나, 높은 배당이 계속 유지된다면 다소 높은 가격에 매수해도 괜찮을 수 있지만, 펀드 운용성과가 기대이하이거나 시장 상황이 안좋아지면 순자산가치(NAV)와의 괴리가 줄어들면서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PDI 운용방식
PDI는 글로벌 채권(회사채, MBS, 신흥국 채권 등)에 투자하고 있으며, PIMCO(핌코)가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펀드입니다. 주로 레버리지를 활용해서 운용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PDI는 모기지 채권에 약 60%, 미국 국채에 약 13%, 하이일드 채권에 약 18%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운용보수는 다른 펀드에 비해 높은 편에 속합니다. 현재 PDI의 운용보수를 알아보겠습니다.
PDI 펀드의 Total Expense Ratio (including interest expense) : 즉, 펀드 운용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을 합친 비율은 6.13%입니다. 펀드의 관리나 운용, 레버리지를 이용해서 투자할 때 발생하는 이자비용까지 전부 포함해서 연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보통 이러한 총 비용이 높을수록 펀드의 순수익률은 줄어들게 됩니다.
참고로 IPO 당시의 NAV는 $23.88이고, 현재보다 높았지만, IPO 이후에 펀드가 투자한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거나,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지금처럼 NAV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리 인상이나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펀드가 보유한 채권의 가치가 떨어지면 NAV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PO 당시의 NAV와 현재 가격을 단순 비교하기 보다는, 현재 시점의 NAV와 시장 가격간의 괴리를 보시는게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니며,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추가 조사 후 신중히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신고 대행 서비스 신청하세요 (0) | 2025.03.25 |
---|---|
버퍼 ETF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 알아보기 (0) | 2025.03.24 |
버퍼 ETF 출시, 매수 전에 2가지는 꼭 알아야 합니다. (0) | 2025.03.23 |
우리집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일까? (0) | 2025.03.18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2가지 (0) | 2025.03.15 |
OMAH ETF 투자하고 15% 배당 받기 (고배당, 월배당) (0) | 2025.03.12 |
나도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을까? 근로장려금 조회 및 신청 방법 (0) | 2025.03.11 |
한전 고효율 가전 지원비 최대 30만원 받는 방법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