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트럼프의 무리한 관세 정책 및 세계경찰 역활 축소를 지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달러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때 자산가들은 스위스 프랑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데요, 오늘은 스위스 프랑에 투자자들이 몰리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떠한 투자상품이 있는지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목차
1. 스위스 프랑이 주목받는 이유
스위스 하면 어떤것이 떠오르시나요? 저는 깔끔한 시계, 초콜릿, 알프스, 그리고 은행이 떠오릅니다. 스위스는 오랜 시간 동안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안정된 경제 시스템과 함께 '신뢰'라는 이미지를 굳혀온 나라입니다.
제약 바이오, 금융, 시계와 같은 정밀기계산업, 그리고 식품과 같은 핵심 산업들도 세계적으로 강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기때문에 경제 자체가 매우 탄탄합니다. 대표적으로 노바티스(Novartis), 네슬레(Nestle), 로슈(Roche), 스와치 그룹(Swatch Group) 등이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이런 산업 기반은 스위스 프랑(CHF)의 안정성과도 직결되는 부분입니다. 스위스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이 낮고, 재정이 건전하며, 경제 규모 대비 외환보유고도 상당히 높은 국가입니다. 그래서 경제 위기 때마다 사람들이 달러나 엔화와 함께 스위스 프랑으로 돈을 옮기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이른바 '안전자산', '세이프 헤븐 통화'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스위스 프랑에 투자하는 방법
스위스 프랑에 투자하는 목적은 바로 환율 변동성에 대비한 리스크 분산입니다. 특히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스위스 프랑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미국 달러나 원화 중심의 자산에 스위스 프랑을 일부 편입하면 변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정책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스위스 중앙은행(SNB)은 물가 안정과 환율 안정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통화가치 하락과 같은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에는 'FXF'(Invesco CurrencyShares Swiss Franc Trust)라는 ETF 상품이 있습니다. 이건 스위스 프랑 환율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는 상품이라,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수 있습니다. 이 ETF는 스위스 프랑 환율을 1:1로 추종하는 구조입니다. 별도로 외환 계좌를 만들지 않아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스위스 프랑을 기준으로 운용되는 글로벌 채권형 펀드들도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Seeking Alpha에서 검색한 FXF 차트입니다.
이 ETF는 2006년 6월 21일에 상장되었으며, 올해 수익율을 살펴보면(YTD) 현재까지 무려 14.35% 입니다. 특히 올해 4월달과 7월달에 거래자금이 많이 몰린것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가격은 오늘 종가기준으로 한주당 $111.90달러입니다.
3. 스위스 프랑에 투자시 유의사항
스위스 프랑은 기본적으로 금리가 매우 낮거나 마이너스인 통화이기 때문에, 장기 보유시 수익률이 낮을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글로벌 자금이 경제 위기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몰릴 경우 스위스 환율이 급등했다가, 상황이 안정되면 금방 다시 약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점도 꼭 염두해 두셔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스위스 프랑은 환차익에 집중하는 자산인 만큼, 실물자산처럼 배당이나 이자 수익이 거의 없습니다. 실제 배당은 아래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매우 낮으며, 일정하지 않고, 특히 2025년에는 지급된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단기적 환율 전망에 따라 매매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으며, 전체 자산의 일부만 활용하는 분산 투자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즉, 스위스 프랑은 단기 수익보다는 경제 위기시 방어적인 역할을 기대하며 편입하는 전략이 적합합니다. 금융시장이 요동칠 때, 나만의 작은 피난처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주식 투자 조언이 아니며,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의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추가 조사 후에 신중히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영화지원 쿠폰 받기, 선착순! (0) | 2025.07.24 |
---|---|
올 여름 울산페이 한시적으로 혜택 증대 (세부사항 알아보기) (0) | 2025.07.23 |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 (월배당 15%) (0) | 2025.07.22 |
민생지원금 25만원 어떤게 더 유리할까 (카드 vs 지역화폐) (0) | 2025.07.21 |
스테이블 코인, 써클(CRCL)과 테더(Tether) 수익 구조 알아보기 (0) | 2025.07.19 |
2025년 기준 아동 수당 지급 확대 실시 (수급 가능 나이 공개) (0) | 2025.07.11 |
2025년 7월 전국민 지원금 25만원 수령 방법 (0) | 2025.07.03 |
가족친화 과세 도입 추진, 가족친화 과세란?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