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장 핫한 주제인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에 투자하기 앞서 미리 알아야 하는 투자 수익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써클(CRCL)과 테더(Tether)
요즘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대표적인 코인 두가지는 바로 써클(CRCL)과 테더(Tether)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미국 달러와 1대1로 페깅된 코인을 발행합니다. 즉, 1코인은 언제든지 1달러로 교환이 가능합니다.
써클(CRCL)은 USDC라는 코인을 발행하며, 테더(Tether)는 USDT라는 코인을 발행합니다. USD까지는 동일하며 맨 끝 글자만 C또는 T로 구분됩니다. 테더(USDT)는 2025년 현재 코인시장 점유율이 60%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서 써클(USDC)이 22~25%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USDC(써클)는 전액 현금이나 미국 단기국채로 준비금을 구성하고 있으며, 매 분기마다 외부 감사를 통해 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통과된 지니어스 법(Genius Act)의 규제에 맞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반면 USDT(테더)는 비트코인이나 상업어음, 비우량자산등을 보유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많이 상승했기 때문에 지급 준비금 측면에서는 써클에 대비해서 압도적으로 안정적이다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습니다.
그럼 바로 아래에서 코인과 채권과의 관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스테이블 코인의 수익구조
써클(CRCL, USDC)의 경우, 미국 단기 국채를 사들이면서, 국채에서 발생되는 이자를 수익으로 가져갑니다. 2024년 기준으로 약 3.6%의 수익률로 약 440억 달러 준비금에서 16억 달러 매출이 발생했으며, 이 중 순수익은 약 7.68억 달러입니다. 다만 수익의 상당부분(약 50%정도)이 코인베이스(Coinbase)에 예치시 100%, 그렇지 않은 경우 50%정도가 수익 분배로 나가게 됩니다.
3. 금리와 채권의 영향
써클(CRCL, USDC)은 미국 단기 국채를 매입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준비금 수익은 시중 금리 수준에 직접적으로 연동이 됩니다. 금리가 떨어지면 준비금에서 발생하는 이자가 줄어들게 되어 CRCL의 수익성도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은 리스크 중 하나입니다. 반면 금리가 오르게되면 그만큼 국채 이자가 늘어나서 CRCL의 수익이 올라가는 구조가 됩니다.
4. 향후 전망
어젯밤 트럼프가 최종 승인한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과 Stable Act 등 미국 의회에서 스테이블 코인과 관련된 법안들이 도입되고 만들어지면 USDC는 규제 우위를 점하게 되며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도 기대 됩니다. 이미 써클(CRCL, USDC)은 First National Digital Currency Bank를 신청 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국채 현금 준비금 관리를 직접 수행하려는 전략적인 움직임도 보이고 있습니다.
비자(Visa)나 마스터카드(Master Card), 코인베이스(Coinbase) 등과의 파트너쉽 역시 USDC에게는 유리한 부분으로 적용됩니다.
써클은 미국주식시장에 상장후 IPO 초기 $31에서 최고 $298까지 올랐던 적이 있으며, 현재는 $180 ~ $240사이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 글은 단순한 정보 공유를 위한 것이며, 투자 권유의 목적은 전혀 없습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신중히 해주세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기준 아동 수당 지급 확대 실시 (수급 가능 나이 공개) (0) | 2025.07.11 |
---|---|
2025년 7월 전국민 지원금 25만원 수령 방법 (0) | 2025.07.03 |
가족친화 과세 도입 추진, 가족친화 과세란? (0) | 2025.06.25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따라하기 (해외배당 기납부세액 입력방법) (0) | 2025.06.10 |
계좌 이체 실수 했을 때, 바로 취소하는 방법 (0) | 2025.06.09 |
PLUS 고배당주 알아보기 (배당성장율 주목) (0) | 2025.04.18 |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 일자리 공고 (0) | 2025.04.10 |
삼성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 진행 상황 (지금이라도 매수할까?) (0) | 2025.04.03 |